Archinsights 2025. 6. 18. 18:17

철도는 우리 삶의 중요한 교통수단이자 국가 기간산업입니다. 한 번의 사고도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철도 안전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죠. 그래서 철도안전성검토 제도가 철저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철도안전성검토의 개념과 법령, 계약 주체와 적용대상, 최근 이슈, 그리고 주요 평가내용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철도안전성검토란?

철도안전성검토는 철도시설의 신설, 개량,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분석하고, 이를 설계·시공·운영에 반영해 사고를 예방하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점검을 넘어, 위험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안전관리체계의  행정검토절차라 할 수 있습니다.
 

2. 법령과 제도 현황

철도안전성검토는 「철도안전법」에 근거해 시행되며, 2024년 6월 11일 개정된 법령과 시행령에 따라 더욱 체계화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설계안전성(DFS) 검증 강화, 운행선 근접공사에 대한 안전성 확보, 종합시험운행 결과 검토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이 제도를 통해 철도 안전관리 수준을 높이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철도안전성검토 개선내용
철도안전성검토 개선내용

3. 계약 주체와 적용 대상

  • 계약 주체
  • 철도안전성검토 업무는 철도사업자(국가철도공단, 지방자치단체, 민간 철도운영기관 등)가 주체가 되어 전문 평가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등)과 계약을 체결해 수행합니다.
  • 즉, 계약의 직접 당사자는 철도사업자와 전문평가기관입니다.
  • 발주기관이 평가를 의뢰하고, 전문기관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검토를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 적용 대상
    철도안전성검토는 철도보호지구 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고속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 경전철 등 모든 철도 노선과 시설의 신설·개량·운영 사업에 적용됩니다.
    또한 운행선 근접공사, 신호·전기·통신 시설 변경, 차량 도입, 역사 및 역무시설 신설 등 철도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업이 대상입니다.

 

4. 최근 이슈 및 동향

2025년 들어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 강화가 주요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국가철도공단은 설계단계부터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여부를 검토하는 설계안전성(DFS) 검증업무 매뉴얼을 발간해 현장 적용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철도안전관리체계의 정기·수시 검사와 종합시험운행 결과 검토, 철도종사자 자격시험 등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제도 보완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그 결과로 철도사고 0건을 4년 연속 유지하는 등 안전관리 성과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설계안전성 검증업무 매뉴얼 발간
설계안전성 검증업무 매뉴얼 발간

 

5. 주요 평가내용

철도안전성검토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중심으로 검토합니다.

  • 철도안전관리체계(SMS) 적합성 평가
  • 설계단계 위험요소 분석 및 저감대책 마련
  • 종합시험운행 결과의 기술적·운영적 검토
  • 차량 및 시설 유지관리 적정성 평가
  • 비상대응계획 및 훈련 실적 점검
  • 운행안전관리 체계 점검

이러한 다각도의 평가를 통해 철도사업 전 과정에서 안전이 실질적으로 확보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6. 앞으로의 전망

철도안전성검토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 제도로, 앞으로도 더욱 강화되고 체계화될 전망입니다.
최근 GTX 철도망 확장과 신규 노선 개통, 운행선 인접공사 증가에 따라 안전관리의 중요성은 점점 커질 것입니다.
사업시행자와 관계기관, 그리고 이용자 모두가 철도안전성검토의 의미와 절차를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안전한 철도 환경 조성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반응형